-
목차
요즘 인건비는 오르고, 알바도 구하기 힘들고…
직원 뽑는 게 겁나는 시대입니다.
그런데 정부가 직원 한 명만 제대로 뽑아도 월 75만 원씩, 최대 900만 원을 지원해주는 제도가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바로 ‘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’입니다.
2025년에도 지속 운영되는 이 제도는 자영업자, 중소기업 사장님이라면 꼭 챙겨야 할 정부 인건비 지원금이에요.
오늘은 신청 조건, 지원 대상, 금액, 절차, 유의사항까지
실제 신청 가능한 실전 정보로 정리해드릴게요!
✅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?
청년 고용을 장려하기 위한 고용노동부의 지원 제도로,
청년(만 15~34세)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사업주에게
월 최대 75만 원씩 12개월간 총 900만 원을 지원합니다.
청년 고용정책 전체가 궁금하다면?
✅ 지원대상: 누구나 받을 수 있을까?
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주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:
- 5인 이상 사업장 (※ 일부 업종은 1인 이상도 가능)
- 정규직으로 6개월 이상 고용 예정
- 고용보험에 신규 가입한 청년을 채용
- 최근 1년 내 고용 관련 부정수급, 체불 사실 없는 경우
✅ 채용 대상 청년 요건
- 만 15세 이상 ~ 34세 이하
- 고용보험에 최근 6개월 이상 가입 이력 없는 상태
- 졸업 후 미취업 청년
- 비수급자 우선 (기초생활수급자 제외)
✅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항목 금액 월 지급액 75만 원 지급 기간 최대 12개월 총 지원금 최대 900만 원 (1인 기준) ※ 6개월 이상 고용 유지는 필수!
✅ 신청 절차는 어떻게?
- 워크넷 회원가입 / 사업장 등록
- “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” 사전 신청서 제출
- 청년 채용 후 → 정규직 전환, 고용보험 가입
-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확인 후 장려금 지급
✅ 준비 서류 체크리스트
- 사업자등록증
- 고용계약서
- 4대 보험 가입 확인서
- 근로자 통장 사본
- 급여지급 내역 (세금계산서 or 이체 증빙)
⚠️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
- 고용장려금 등 타 장려금과 중복 수급 불가
- 단기 계약직은 지원 제외 (정규직 전환 조건 필수)
- 근로자 6개월 미만 퇴사 시 일부 회수 가능성 있음
- 신청 전 반드시 워크넷 상담센터 확인 권장
✅ 실무 팁: 이런 경우라면 딱!
- “청년 정직원 1명 뽑을 계획이 있어요” → 지금 신청 각
- “초기 인건비 부담이 커요” → 최대 월 75만 원 절감
- “지금 뽑으면 고용장려금은 안 되는데…” → 이 제도는 가능!
✅ 결론: 놓치면 진짜 900만 원 손해!
이 제도는 ‘먼저 아는 사장님이 받는 혜택’이에요.
복잡해 보여도 딱 한 명 채용하고 조건만 맞으면 자동 지급되는 구조니까,
지금 당장 신청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!
청년 고용정책 전체가 궁금하다면?
청년 고용정책 한눈에 보기 (고용노동부 공식)'정보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휴수당이란? 시급 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지급 조건과 계산법 (0) 2025.04.19 근로계약서 안 쓰고 일하면 어떻게 되나요? 시급 알바생 필수 노동법 (1) 2025.04.16 알바 준비 전 필수 체크! 2025년 최저임금 시급·월급 계산법 한눈에 보기 (0) 2025.04.14 최저임금 올라서 걱정? 2025 고용장려금으로 인건비 지원받는 법 (0) 2025.04.13 서울 이사 예정이라면 필독! 청년 중개수수료+이사비 최대 40만원 혜택 (0) 2025.04.12